728x90
2장. 당신이 아픈 건 그 사람 탓이 아니다
관계의 밑바탕에 깔린 약속
- 일하느라 정신없이 바쁘고 올바른 행동거지와 성공을 무엇보다 가치 있게 평가하는 부모를 둔 아이들은, 일찍부터 관계란 세상에 나가 성공하는 것에 비하면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여기게 됨.
- 이렇게 회피형으로 자란 아이가 어른이 되어 왜 능력만으로는 사랑하는 사람을 행복하게 하기에 부족한지 잘 이해하지 못함.
나도 모르는 내 마음속 어린아이
- 그냥 귀 기울여 주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는 대신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주려 애쓰는 엄마를 둔 벤 ( = 슬픔이나 분노를 표현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잘 모르게 됨. 사랑받으려면 자기가 항상 '잘해야'한다고 믿었고, 동시에 감정을 인정받지 못하고 넘어가면 마음이 아프니 자신의 감정 상태는 최대한 의식하지 않으려 노력)
- 워킹맘이라 기분이 좋을 때는 잘해주지만, 기진맥진해 정신이 딴 데 가 있을 때가 많은 엄마를 둔 헌터 ( = 사랑이란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왔다가 사라진다고 믿게 되고, 두려움을 느끼게 됨. 엄마의 감정적 욕구에 촉각을 세우고, 자기 욕구를 뒷전으로 밀어 두는 법을 배움.)
- 벤은 헌터의 세심함과 친절함, 따뜻한 마음씨에 끌려 친구가 됨. 헌터는 벤의 독립심에 호감을 느꼈고, 그런 벤에게 선택받았다는 생각에 '특별하고 인정받은 듯한' 느낌을 받게 됨.
- 처음에는 이로운 영향을 주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헌터가 더 많은 관심을 갈구하자 벤은 혼란스러워하며 자신감을 잃음. 점점 불만의 감정을 드러내면 벤이 물러나고, 결국 둘은 다투게 되어 우정은 막을 내림.
- 둘은 그저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인정받고 사랑받기만을 원하며, 자신에게 필요한 애정과 관심을 받는 데 도움이 된다고 배웠던 방법을 실천한 것 뿐임.
유기 공포와 감정 방치
- 편도체는 위협적인 상황에서 우리가 보이는 감정적 반응을 담당.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각인된 기억을 사용하며, 비슷한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할지 미리 청사진을 만들어 둠.
- 불안형(헌터 예시)은 자기 욕구에 일관성 있는 관심을 받지 못했던 경험에서 유기 공포를 느끼고, 교감신경 흥분 상태에서 끊임없이 경계하는 애착체계. 타인의 욕구에 초점을 맞추고, 그게 통하지 않으면 어떻게든 상대방이 자신의 자율신경계를 진정시키게 하려고 필사적으로 매달리는 방향으로 작용
- 회피형(벤 예시) 핵심 상처는 감정 방치와 관련. 감정적 욕구를 느끼고 충족되지 않을 시 고통을 받는 부분과 역할 수행에 집중하는 부분 사이에 벽을 세우고, 나중에 친밀한 관계라는 위협을 느끼면 감정을 인정받지 못하는 엄청난 고통에 노출될 수 있기에, 애착체계는 문을 닫고 당면 과제에 집중함.
상처를 방치하면 되풀이되는 관계 패턴
- 핵심 상처는 기본 욕구 가운데 하나 이상이 계속해서 채워지지 않을 때 생겨나며, 그 상처는 우리에게 신념을 심음
- 나는 버려질 거야, 나는 사랑받을 가치가 없어. 진정한 내 모습을 보이면 거부당할 거야. 나는 망신당하거나 당황하게 될 거야. 다른 사람은 믿을 수 없어. 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해. 사랑을 얻으려면 필사적으로 노력해야 해. 나는 사람들이 필요하지만, 남에게 의지할 수는 없어,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게 내 의무야, 다른 사람들은 항상 나한테서 받기만 해, 세상은 위험한 곳이야, 나한테는 항상 나쁜 일만 일어나, 사람들은 내가 잘해야만 나를 좋아해
- 핵심 상처를 찾아내는 4단계
- 1단계: 당신이 끌리는 사람은?
- 당신이 사귄 사람들에게는 어떤 비슷한 특성이 있나요?
- 그들이 당신을 대하는 방식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나요?
- 2단계: 당신이 소통하는 방식은?
- 당신과 상대의 대화에서 비어 있는 부분은 어디인가요?
- 거리낌 없이 꺼내기 어렵다고 느끼는 주제는 무엇인가요?
- 당신이 말을 꺼내도 상대가 귀 기울이지 않는 주제는 무엇인가요?
- 연애에서 당신이 반복해서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3단계: 과거 되돌아보기
- 어린 시절 당신이 받았던 양육에서 부족했던 부분은 무엇인가요?
- 그렇게 느끼게 된 특정한 사건이 있나요?
- 그 기억을 건드리면 어떤 신체적 변화를 느끼나요?
- 이 경험을 토대로 당신이 사랑받는 방식에 관해 어떤 신념이 생겨났나요?
- 어린 시절의 경험이 현재 당신의 연애에 어떤 식으로 반영되고 있나요?
- 4단계: 자기 패턴을 표로 만들기
- 1단계: 당신이 끌리는 사람은?
[책 속 캐리의 표]
핵심 상처 | 나는 항상 버려질 것이다. |
어린 시절의 예시 | 부모님 두 분 모두 내가 나의 다른 측면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지 않았다. |
자신에 관해 학습한 신념 | 내 욕구는 중요하지 않다. 내 역할은 분수를 아는 것이다. |
현재 상처가 반복되는 방식 | 많은 남자들이 나한테 매력을 느끼지만 아무도 진짜로 나를 알고 싶어 하지 않는다. |
상처가 되살아날 때 느끼는 신체 감각과 감정 | 슬픔, 심장의 통증, 배가 뭉치는 느낌, 우울함 |
- 늘 의식주는 부족하지 않게 챙겨 주었기에 캐리는 자신이 고마워해야 한다고 생각했음.
- 지나간 연애에서 뭔가를 배우고 싶다면 핵심 상처가 건드려지거나 활성화되었을 때 자신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시간을 들여 생각해 봐야 함. (도망쳐서 숨는지, 분노나 슬픔 같은 감정으로 대응하는지, 감정을 아예 닫아버리는지 등)
- 누군가에게 경제적 안정을 제공해야만 사랑받는다는 신념 - 직업도 돈도 없이 보살펴줘야 하는 애인을 만나게 될 수도, 믿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핵심 상처로 연애를 시작한 지 석 달만 지나면 밀어내는 사람도 있고, 혼자가 된다는 두려움이 핵심 상처인 경우 이미 가망이 없다는 게 확실한 관계에도 절박하게 매달림.
참는다고 괜찮아지지 않는다
- 수잔이 식사준비를 하고 댄이 뒷정리를 돕기로 했는데 댄이 깜빡 잊어버리곤 함.
- 수잔은 속이 상하고 애쓴 만큼 인정받지 못한다는 느낌이 들지만 유기 공포가 핵심 상처라 잠재의식 속에서 댄을 기쁘게 해야만 자신이 사랑받을 수 있다고 믿음. (불안형에게 흔히 보이는 신념) 그래서 댄이 주방 뒷정리를 잊으면 짜증 난다고 말하는 대신, 도움과 감사를 원하는 욕구를 꾹 눌러 담고 반대급부로 댄의 욕구에 더 맞춰줌.
- 그러던 어느 날 댄이 또 까먹자 수잔이 폭발해서 댄을 비난하고 접시를 집어던져 깨뜨림.
- 댄은 자신이 뒷정리에 착실하게 참여하지 않은 것이 수잔에게 어떤 느낌을 주었는지 눈치채지 못함. 그가 까맣게 몰랐던 것은 나쁜 파트너여서가 아니라 수잔이 자기 마음을 표현하지 않았기 때문. 막다른 길에 다다를 때까지 갈등을 피하다 분노가 쌓인 수잔의 내면아이가 폭발.
인간관계에서 끌어당김의 법칙
- 인간의 사고와 감정 또한 고유한 전자기적 전하를 띠고 있어, 우리의 생각에는 자신의 에너지 특성에 맞는 상황을 '자석처럼 끌어당기는' 힘이 있음. 사람이 자기 자신과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따라 그에 맞는 짝이 정해진다는 뜻.
- 내면아이는 자기 채움 과정을 통해 치유되기 전까지 과거의 상처에 매달리므로, 이 상처의 에너지는 우리 내면에 갇혀, 쌓이면 감정적 폭발로 이어짐. 이런 상태에서 시작하는 연애는 쉽고 빠른 위안을 얻기 위해 관계를 이용하는 것에 가까움.
- 핵심 상처를 인식하고 나면 자기 삶의 어느 부분에 관심이 필요한지 깨닫고 주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아 이 상처를 치유할 수 있게 됨. (진정한 자기 채움)
- 레이철은 자기 또래 사이에서 고립된 기분을 느낌 - 회사 일로 너무 바빠 연인과 자주 만나지 못해 소속감이 없음 - 외로움과 고립감이 어린 시절에 종종 느꼈던 기분임을 받아들임 - 연인에게 자신을 달래 달라고 달려가거나 자신의 외로움을 상대 탓하지 않고, 친한 친구에게 이런 심정을 털어놓고, 동네 요가 스튜디오의 월간 회원권을 끊거나 독서 클럽에 가입함. (소속되고 싶은 욕구가 채워지지 않았음을 인정하며, 스스로 이를 해결)
- 모든 욕구를 연인이 채워주길 바라는 관계는 '공의존' 관계. 두려움을 토대로 관계를 맺거나 감정적 양분과 지지를 오로지 파트너에게서만 얻으려 하면 공의존에 빠지게 됨.
'Etc > Entertain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심리] 나는 왜 사랑할수록 불안해질까 4장 정리 (2) | 2024.09.17 |
---|---|
[책/심리] 나는 왜 사랑할수록 불안해질까 3장 정리 (0) | 2024.09.17 |
[책/심리] 나는 왜 사랑할수록 불안해질까 1장 정리 (0) | 2024.09.16 |
[유튜브] 추천 영상 데미안 해석 영상 (2) | 2024.09.14 |
[책/철학]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쇼펜하우어 아포리즘 (0) | 2024.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