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ker2 [CCAAK] Broker 개념 노트 v1.0 ✅ Kafka Broker 이해하기Kafka broker는 Apache Kafka 클러스터 내에서 데이터를 수신, 저장, 전송하는 서버이다. Kafka 생태계의 핵심 컴퓨팅 노드이며, 메시지를 불변한 순서로 저장하는 topic partition (로그 파일) 을 갖고 있음.📌 Broker의 기본Broker: 여러 개의 partition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producer와 consumer 간 메시지 전달을 중계하는 서버임. Broker ID: 각 Kafka broker는 고유한 정수형 ID로 식별됨. Bootstrap Server: 모든 Kafka broker는 bootstrap server로 동작함. 클러스터 전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broker에만 연결하면 됨. Cluster: 여러 .. DevOps/Kafka 2025. 3. 24. [카프카 프로그래밍] 브로커의 역할 1️⃣ 컨트롤러다수 브로커 중 한대가 컨트롤러의 역할을 해서 헬스체크하고 비정상이면 빠르게 클러스터에서 빼내기.2️⃣ 컨슈머 오프셋 저장어느 레코드까지 가져갔는지 확인하려고 오프셋 커밋. _consumer_offsets 토픽에 저장이건 언제보냐? 장애 났을 때 어디까지 토픽 저장됐는 지 확인할 때 본다.3️⃣ 그룹 코디네이터파티션을 컨슈머와 매칭되도록 분배.컨슈머가 보통 1:1 처리 중인데 만약 컨슈머가 장애나서 빠지면 파티션을 정상 컨슈머로 할당해서 한 컨슈머가 여러 파티션 처리하게 우선 리밸런스함.4️⃣ 데이터의 저장카프카를 실행할 때 config/server.properties의 log.dir 옵션에 정의한 디렉토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토픽 이름과 파티션 번호의 조합으로 하위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 DevOps/Kafka 2024. 6. 23. 이전 1 다음